저는 2010년 5월 가입한 청약통장이 하나 있습니다. 당시 신한은행에 가서 만들었고 정확한 통장 이름은 <마이홈플랜 주택청약 종합저축>입니다. 2019년까지 2만원씩 입금해 왔는데 앞으로는 10만원씩 넣을 예정입니다.
제가 가입한 상품의 경우) → 청약통장은 예금자보호법에 의해 보호받지는 못합니다. 하지만 국민주택기금에 의해 정부가 별도 관리(지급보증)하고 있어서 안전합니다. 통장에 있는 금액이 1,500만원 미만일 경우 2~1,500만원까지 다양한 금액으로 납입이 가능합니다.
현재 110회차까지 납입했으며 마지막 약정일(190625)을 보면 2019년 7월부터 2020년 4월까지 10개월이 밀려 있는 걸 알 수 있습니다.
■ 청약통장 한 번에 납입 가능하다?
- 네, 가능합니다. 자동이체 신청을 하지 않아 깜빡 잊은 경우, 돈이 모자라 약정일에 넣지 못한 경우 나중에 한꺼번에 입금이 가능합니다. 다만 회차를 잘 나눠서 넣어야 합니다. 저는 이번 5월까지 하면 11개월분... 110만원을 11회로 나눠서 내야 합니다. 그래야 10만원씩 11번 넣은 걸로 인정받습니다.
■ 이제부터 10만원씩 넣는 이유
- 국민주택의 최대 인정금액인 10만원을 맞추기 위해서
1회 2만원씩 넣은 사람 → 2만원
1회 10만원씩 넣은 사람 → 10만원
1회 50만원씩 넣은 사람 → 10만원
이처럼 10만원씩 넣으면 2만원씩 넣은 사람보다 나중에 금액 면에서 우위를 가져갈 수 있습니다.
신한 쏠(SOL) 앱으로 들어가 봅니다.
■ 적용이율(가입기간별 변동금리) 연 1.8% ← 2년 이상 넣었을 때
- 청약에 당첨돼 해지할 경우 원금+금리에 따른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.
- 저는 처음 가입할 때 이자율이 연 3.0%가 훨씬 넘었습니다. 당시 넣은 금액은 당시 금리를 적용받습니다.
- 이렇게 적금의 역할도 하기 때문에 10만원을 넣는 게 좋습니다.
■ 국민주택 1순위 발생일
- 가입 후 1년 동안 꼬박 넣었기 때문에 1순위가 되었습니다.(2010/5/25~2011/5/25)
■ 민영 1순위 필요잔액
- 85㎡이하 민영 1순위가 되려면 250만원이 되야 합니다(인천광역시의 경우). 아직 22만원이 부족한 상황입니다.
- 서울/부산은 300만원, 기타 광역시 250만원, 기타 시/군 200만원
사실상 가장 정확한 정보가 있는 곳은 우리가 청약을 신청하는 '청약홈'입니다. 청약홈에서도 내가 가입한 청약통장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또한 청약가점 계산기를 이용해 가점제가 무엇인지 한눈에 알아볼 수 있습니다.
나머지 청약일정 확인, 청약가점 계산 등은 로그인 하지 않고 편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.
고객센터 - 공지사항/FAQ에도 궁금해할 만한 내용들이 잘 정리돼 있으니 쭉 보시면 좋겠습니다.
무주택기간은 *미혼인 경우 만30세부터 기간을 산정합니다.
굵은 글씨로 '만60세 이상 직계존속이 주택을 소유한 경우에는 청약신청자를 무주택자로 인정*합니다' 라는 문장을 볼 수 있습니다. 현재 제 경우입니다. 아버지(직계존속)께서 만60세 이상의 유주택자입니다. 아버지 연세 덕분에? 무주택자(무주택세대원)가 됐습니다.
- 청약 지역(투기과열지구, 청약조정지역)에 따라 '세대주'만 1순위를 주는 곳이 있습니다. 이때는 세대주 변경이나 분리를 해야 합니다.
부양가족은 2명이 아니라 0명이 되어야 합니다.
세대주를 저로 변경할 수 있다 해도 아버지가 주택(아파트)을 소유 = 유주택자이기 때문에 어머니 또한 부양가족에 들어가지 못합니다. 부부는 따라갑니다.
Q3은 청약통장 가입기간입니다. 제가 그나마 점수를 올릴 수 있는 곳입니다.
저는 무주택기간 4점 + 부양가족 5점 + 청약통장 가입기간 11점 = 20점밖에 되지 않습니다. 앞으로 꾸준히 납입하고 무주택 기간을 늘려야겠습니다. 그래서 가점제와 함께 추첨을 노려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. 내 집 마련의 꿈 꼭 이루어질 겁니다. 화이팅!!
*같이 보면 좋을 영상 - EBS1 <다큐 잇> 7회(2020/5/14 방송) '청약통장'. 내 집 마련을 위해 청약통장을 만들고 열심히 살아가는 청년들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. 마이홈 어플,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전환, LH 전세임대주택 당첨 내용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. EBS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없이 무료 보기가 가능합니다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종합소득세 신고유형 확인하는 방법 (0) | 2020.05.20 |
---|---|
갤럭시 진2 케이스 구매 후기 (0) | 2020.05.17 |
으뜸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환급사업 10% 환급 방법 (0) | 2020.05.15 |
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이력내역서 발급 (0) | 2020.05.14 |
졸업증명서 발급 방법 2가지 (0) | 2020.05.12 |